사랑하는 사람을 잃는다는 것
Tears In Heaven – 아들을 향한 노래
코너 클랩튼의 이야기
깊은 슬픔 속에서 태어난 노래
아들의 죽음 이후 클랩튼은 한동안 음악을 할 수 없었다. 기타를 잡는 것조차 고통스러웠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다른 방식으로 아들을 기억하고 싶어졌다.
그는 음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로 했다. 그리고 그렇게 탄생한 곡이 바로 Tears In Heaven이었다.이 노래는 처음에는 1991년 영화 Rush의 사운드트랙으로 공개되었다.
하지만 곧 클랩튼에게는 영화 음악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곡은 그의 개인적인 고통과 상실을 담아낸 곡이었고, 세상에 남아 있는 아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인사 같은 것이었다.
내가 천국에서 널 만나면, 넌 내 이름을 알아볼까?
가사는 절제된 단어들 속에서도 깊은 슬픔을 담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경험이 있는 이라면 누구나 이 노래를 듣고 자신의 상실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공연 중에도 그는 종종 감정을 주체하지 못했다. 노래를 부르다가 눈물을 흘리기도 했고, 그를 바라보던 관객들도 함께 울었다. Tears In Heaven은 그렇게 많은 이들의 마음을 울리는 곡이 되었다.
음악으로 전하는 사랑
그래미 수상과 전 세계적인 공감
이 노래는 1993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Song of the Year)', '올해의 레코드(Record of the Year)', '최우수 남성 팝 보컬 퍼포먼스(Best Male Pop Vocal Performance)' 부문을 수상하며 큰 성공을 거뒀다. 하지만 클랩튼에게 이 곡은 단순한 히트곡이 아니었다.
이 노래는 같은 아픔을 겪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위로가 되었다.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이들은 Tears In Heaven을 들으며 각자의 슬픔을 떠올렸고, 그
노래를 통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애도할 수 있었다.
클랩튼은 이 곡을 부르며 슬픔을 극복하려 했고, 세상은 그의 음악을 통해 위로를
받았다.
다시는 부르지 않은 노래
하지만 2003년, 클랩튼은 더 이상 Tears In Heaven을
부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유는 단순했다. 노래를 부를 때마다 떠오르는 아들의 기억이 너무 아팠기
때문이다. 그는 더 이상 과거의 슬픔에 머무르지 않기로 했다. 음악은 그를
치유했지만, 동시에 그에게 끊임없이 상처를 떠올리게 하는 존재이기도 했다.
그렇게 Tears In Heaven은 그의 공연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이 노래가 가진 의미는 변하지 않았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이 곡을 들으며 사랑하는 사람을 기억하고, 위로를 받는다.
기억하는 방식, 그리고 노래하는 방식
사랑하는 사람을 기억하는 방법은 저마다 다르다.
어떤 이는 오래된 사진을 꺼내 보고, 어떤 이는 편지를 남긴다.
나는 때때로 그 사람이 좋아하던 노래를 들으며 마음을 달랜다.
에릭 클랩튼은 음악을 통해 아들을 기억했다. 그리고 그의 노래는 같은 슬픔을 겪은
사람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했다.
다음 이야기로
다음 그의 이야기에서는 또 다른 노래 속 감동적인 사연을 들려줄 예정이다.음악이 주는 위로를 함께 나누고 싶다.